[교육과정 및 평가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09-2 교육과정 및 평가 B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0:13
본문
Download : 교육과정및평가[2].hwp
이에 본 課題에서 우리는 마음의 중층구조에 대한 논의의 당위성을 찾게 된다된다. 마음의 중층理論(이론)은 교과교육이 지향하는 세계가 형이상학적 실체 또는 마음으로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그 세계의 존재와 정체는 교과의 세부사항 속에서 분유되어 있는 형이상학적 마음을 학습자가 경험적 마음으로 내면화할 때 비로소 알려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Download : 교육과정및평가[2].hwp( 70 )
- 방통대 09-2 교육학과 3학년 교육과정 및 평가 B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1 정범모(1976), <교육과 교육학>, 서울: 배영사. 2 김병길 역, 『교육철학, (서울:교육과학사, 1993) 3 박의수 외, 교육의 역사와 철학, (서울;박영사) 4 김경식 저, 『교육사, 철학신론』, (서울:교육과학사, 1996) 5 교육의 중층구조과 도덕교육, 함정실, 한국도덕교육학회, 2002
1. 마음의 의미
[교육과정 및 평가 ] ‘마음의 중층구조’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지식으로서의 교과에 대해 논하고,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마음과 비교하시오.
순서
■ Reference List ■
3. 키에르케고르의 마음의 충층구조
4 김경식 저, 『교육사, 철학신론』, (서울:교육과학사, 1996)
3 박의수 외, 교육의 역사(歷史)와 철학, (서울;박영사)
Ⅰ. 서 론
2. 마음의 중층구조의 의미
다. 그러나 오늘날의 교과교육에 관한 일반 적인 통념 속에서는 교과교육이 그 자체로서 도덕적 의미를 담고 있다거나 수 단- 목적 사고와 양립될 수 없다는 생각을 확인하기 어렵다.
Ⅲ. 결 론
교과교육에 붙박혀 있는 도덕적 의미를 드러내는 데에는 교과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교육의 중층구조에 비추어 해석하는 일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 양자의 관계를 중층구조에 비추어 해석 할 경우 , 교과교육은 마음의 함양과 논리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을 뿐 아니라 그 과정을 통해서 함양되는 마음은 이른바 수단- 목적 사고와 결코 양립될 수 없다는 사실이 명백하게 드러날 가능성이 있다. 교과교육이 구현하고 있는 마음의 함양이 수단- 목적 사고와 양립될 수 없다 는 사실은 , 교과교육의 도덕적 의미뿐 아니라 교과로서의 도덕과 교육이 추구 해야할 방향을 구체적으로 시사한다. 성리학에 의하면 교과교육을 교과로서의 지식 자체의 가치와 무관하게 개인과 사회 또는 일상생활의 필요에 비추어 정당화하거나 외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하는 것은 교과를 자기 마음으로 내면화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는 경험적 마음이 바깥의 물건에 기능하여 형이상학적인 마음에 도달하는 과정을 경험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나와 대비되는 남, 즉 利他의 삶을 지향하지 못한다. 4. 마음을 마음의 중층구조로 보는 이유
설명
Ⅰ. 서 론
마음의 중층구조, 교육과정 및 평가,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 바람직한 지식으로서의 교과, 바람직한지식, 교육과, 교육학과
Ⅱ. 본 론
![교육과정및평가[2]-876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9/%EA%B5%90%EC%9C%A1%EA%B3%BC%EC%A0%95%EB%B0%8F%ED%8F%89%EA%B0%80%5B2%5D-8767_01.gif)
![교육과정및평가[2]-876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9/%EA%B5%90%EC%9C%A1%EA%B3%BC%EC%A0%95%EB%B0%8F%ED%8F%89%EA%B0%80%5B2%5D-8767_02_.gif)
![교육과정및평가[2]-876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9/%EA%B5%90%EC%9C%A1%EA%B3%BC%EC%A0%95%EB%B0%8F%ED%8F%89%EA%B0%80%5B2%5D-8767_03_.gif)
![교육과정및평가[2]-876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9/%EA%B5%90%EC%9C%A1%EA%B3%BC%EC%A0%95%EB%B0%8F%ED%8F%89%EA%B0%80%5B2%5D-8767_04_.gif)
![교육과정및평가[2]-8767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9/%EA%B5%90%EC%9C%A1%EA%B3%BC%EC%A0%95%EB%B0%8F%ED%8F%89%EA%B0%80%5B2%5D-8767_05_.gif)
교육은 우리의 삶에는 ‘사욕’ 추구 이상의 그 무엇이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발생하였으며 그것을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점에서 교육에 있어 마음을 중층구조로 이해해야 하는 중요성이 드러난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資料)] 1 정범모(1976), <교육과 교육학>, 서울: 배영사.
5 교육의 중층구조과 도덕교육, 함정실, 한국도덕교육학회, 2002
- 다양한 자료(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09-2 교육학과 3학년 교육과정 및 평가 B형 참고자료(資料)입니다
5. 과학적 교육과정 운동을 통해 길러질수 있는 마음과 비교
레포트 >
2 김병길 역, 『교육철학, (서울:교육과학사, 1993)
특히 성리학에서는 교과를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誠과 敬은 교과교육의 가치를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