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03:01
본문
Download : 공공도서관.hwp
1906년(광무 10) 민간인의 자발적인 계획으로 설립되었으나 결국 국립도서관의 성격이 짙게 된 대한도서관이 처음으로 도서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4)
애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뿔 받으세여~~공공도서관(4) , 공공도서관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공공도서관.hwp( 85 )
애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뿔 받으세여~~
순서
1. 머리말
현대인의 지식수준이 높아지고 취미나 관심사항이 다양해짐에 따라 평생교육의 기회, 지적 욕구의 충족 및 문화공간의 활용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공공도서관이 발달하게 되었다. 대한도서관은 1910년 국권피탈 후 총독부 취조국에 몰수됨으로써 끝나게 되었다.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전후부터 많은 도서관이 설립되어 운영되었으나 서구식의 도서관체제가 도입된 것은 19세기 말엽부터이다. 사립공공도서관의 효시는 1906년에 설립된 평양의 대동서관(大同書觀: 주문옥·곽용순·김흥윤이 설립)이며 이어 1909년에 서울의 동지문예관(同志文藝館: 신원영·오성근이 설립)이 설립되었다. 특히 1919년 11월에 이범승(李範昇)이 세운 현대적 공…(생략(省略))
다. 일제강점기에는 관립공공도서관 2개관, 공립공공도서관 26개관, 사립공공도서관 15개관, 도합 43개관이 설립되었다. 공공도서관이라 함은 공중의 정보이용 문화활동 및 평생교육을 증진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