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학] 국어교육학_소명(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8:19
본문
Download : 국어교육학-소명.hwp
② 발산적 사고 : 주어진 조건이나 상황을 이용하여 다양한 가능성을 찾는 사고
-이해와 표현의 과정을 기준으로 하여 사고 활동의 범주를 나눔
-내용 조직하기
텍스트 이해과定義(정이) 점검,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수용
-글을 쓰면서 참고 를 찾고, 자신이 쓴 글을 반복하면서 읽고 分析(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정은 이해와 동일한 활동이다.
명료화하기
텍스트에 담겨 있는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
① 지식 기반 : 사고 활동의 ‘거리’에 해당함.
-좋은 표현의 글을 읽으면 장차 나의 글쓰기에 자양분으로 작용
3) 위의 활동들에 관련하여 定義(정이)적 텍스트에 담겨있는 사상과 감定義(정이) 본질을 살펴보기
Download : 국어교육학-소명.hwp( 54 )
-교사는 권위자가 아니라 사고를 자극하고 안내해주고 방향을 잡아주는 안내자,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수행과定義(정이) 차이
==> 작용 양상별 사고를 중심으로 사고의 여러 측면을 한꺼번에 다루는 대안이 필요하다
-문제 사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사고들이 서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은 채 작용한다는 것.
3. 활동 범주
-작용 양상별(concept(개념)획득, 원리파악, 이해, 표현, 문제해결, 의사결정, 탐구 등)
이 해
감동
-텍스트의 의미 구성 과정 강조 : 결과 보다는 의미를 구성해 가는 방법이나 과정에 초점을 두어야 함.
② 성향 : 어떤 특정한 상황에 대한 反應에서 읽어낼 수 있는 잠재적인 행동 경향.
-사고력은 concept(개념)적 지식이 아닌 지적 조작 능력인데 이는 명제적 지식으로 획득되는 것이 아니라 지적 조작 활동이나 훈련 등을 통해 서 점진적으로 습득될 수 있다.
① 중심 내용(요지) 파악 단계
① 수렴적 사고 : 주어진 조건이나 상황 속에서 가장 적합한 하나의 해결책을 찾는 사고
(2) 이해와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
① 인지적 활동 ; 定義(정이)적 텍스트가 본질적으로 언어적 구성물이므로 - 사상
- 유사한 정신활동이 작용(유사한 concept(개념)적 지식, 언어적 지신, 사회-문화적 지식, 주의집중, 정보수집, 分析(분석), 종합, 추론, 평가 등)





② 즐기기 - 느끼기를 통해서 울림의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 定義(정이)적 텍스트에 담겨 있는 定義(정이)에 공감하고, 독자가 그것을 좋아하여 거기에 마음을 쏟을 수 있어야 함
-定義(정이)적 성향(과제 집착성, 호기심, 도전성, 독자성 등)
2. 교육의 방향
② 교사 설명(說明) 위주의 수업
②텍스트화하기
사고가 작용하는 방향에 따른 범주
언어 활동은 정보 처리 활동이며 이는 사고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상세화하기
-기존의 국어과 수업은 단편적인 지식위주의 수업으로 인지 중심적 사고의 일부만을 다루고 이해-표현 과정에서의 의미 구성과정을 도외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통합적인 사고력을 길러 주는 데 기여할 수 없음.
-내용 생성하기
-텍스트의 구조에 대한 지식이나 추론 능력 등은 주로 독서 경험에 크게 의존. 글쓰기에 필요한 철자법이나 어휘력은 읽기 경험으로부 터 획득된다된다.
③ 비판적 이해 단계
-작용 방향별(수렴적 사고, 발산적 사고 등)
① 단편적 지식위주의 수업
표 현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분류된 사고들 상호간의 관계가 concept(개념)적으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다는 것.
-학생들은 스스로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하고 分析(분석)-종합하면서 작가의 사고를 반추해 보며, 친구들의 생각을 듣고 비교하는 과정에서 사고의 다양성과 풍부성을 인식하고 견주는 가운데 최선의 것을 판단함.
인지적활동 - 사상
-닫힌 교과서관으로 인하여 교과서에는 명문만이 실리고 이로 인해 학생들은 비판적이거나 창의적이 사고를 유발하지 못하였음.
(1) 사고 활동의 범주
-글을 읽으며 자기 생각을 되짚어보기도 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성하기도 함. 본질적인 글쓰기와 같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사고 교육은 삶의 문제 사태 중심이어야 하는데 그래야만 사고 교육이 삶의 교육이 되어 가치를 지닐 수 있게 되며 방법적인 면에 서도 더 자연스럽고 결과 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임.
① 교훈 - 작가의 사상과 관련, 삶의 이치에 관한 깨달음
① 사상 - 사고 작용의 결과로서 이루어진 체계적인 의식 (= 생각)
-통합적인 문제 사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단위 요소 기능들이 길러질 수 있도록 해야 함.
4) 定義(정이) 중심적 사고 활동에서 ‘깨침(=깨달음)’ 과 ‘울림’이라는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활동
1. 定義(정이) 중심적 사고의 구조
-교사가 교과서 문장 하나하나를 읽으며 풀이하는 수업에서 학생들은 기록만 할 뿐, 스스로 分析(분석)하고, 종합하고, 재조직하고, 추론하 고, 평가하고, 새로운 생각을 창안해 내는 등의 고등사고는 거의 자극을 받지 못함.
인지 중심적 사고의 구성 요소
② 定義(정이)적 활동 ; 定義(정이)적 텍스트를 읽고 감상하는 궁극적인 목적이 定義(정이)적 동감이므로 - 감정
제 8장 인지 중심적 사고의 본질과 작용
②차이점
② 쾌락 - 작가의 감정과 관련, 삶의 과정에서 느끼는 즐거움
-작성하기
예상 독자와 표현 목적을 분명하게 규정
① 텍스트를 통한 의미 구성 과정을 강조해야 함.
-작용 양상별 사고는 인간이 일상적인 삶을 살아가면서 필요로 하는 실제적인 사고 유형이다. 따라서 국어 활동을 다루는 국어교육은 결국 사고 활동을 다루는 것이기도 하다.
1. 인지 중심적 사고의 구조
-단위 요소별(집중, 정보수집, 기억, 分析(분석), 조직, 종합, 추론, 평가 등)
③ 통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강조해야 함.
성격
국어교육학_소명(요약) [참고reference(자료)] 국어교육학_소명(요약) [reference(자료)범위] 국어교육학_소명(요약) [이용대상] 국어교육학_소명(요약)
(2) 표현에서의 인지 중심적 사고
① 계획하기
② concept(개념) 조작적 측면에서 가지는 통합성
-다양한 질, 다양한 장르의 를 활용
- 定義(정이)적 텍스트에 담겨 있는 사상을 통하여 삶의 이치를 깨닫는 첫 번째 활동 => 알기
통합성 : 인지 중심적 사고는 몇 가지 기준에 따라 concept(개념)적인 차원에서는 구분이 가능하나 실제 상황에서의 사고 과정에서는 명확한 구분이 없이 하나의 전체로 작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제 9장 인지 중심적 사고와 이해-표현 교육
-이 활동 범주들은 일반적 수준에서 적용할 수 있고 구체적인 활동에서는 달라질 수 있음. 그러므로 이 단계적 절차는 회귀적이며 중층적이다.
나타내고자 하는 기본 의미를 다양하고 깊이 있고, 조리 있게 구성
-이해: 텍스트---> 아이디어(의미)
국어교육학_소명(요약) [참고자료] 국어교육학_소명(요약) [자료범위] 국어교육학_소명(요약) [이용대상] 국어교육학_소명(요약)
② 학생의 구성적 활동 중심이 되어야 함.
-고치기
1. reality(실태)
(1) 이해에서의 인지 중심적 사고
대상 활동
깨침 -> 교훈
텍스트의 내용과 관련하여 새로운 신념이나 태도를 내면화하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음
사고력 신장을 위한 이해-표현교육의 네 가지 대안은 다음과 같다.
② 필자의 의도나 목적 파악 단계
④ 교과서 위주의 수업
-작용 층위별(인지, 상위인지)
2) 문학과 같은 定義(정이)적 텍스트를 읽을 때 필요한 2가지 활동
定義(정이)적활동 - 감정
알기 -> 따지기
-이 수업은 진정한 의미의 독해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아님. 독해활동을 학생 스스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가 불러주는 대로 받아 적기만 함.
① 심리 과정적 측면에서 가지는 통합성
- 언어 요인(음성언어, 문자언어, 언어규범, 텍스트 구성원칙 등), 사회-문화적 요인(사회 공동체의 이데올로기, 가치관 등) 등을 공유 한다.
순서
-텍스트 선택의 기준 : 텍스트가 학생들로 하여금 풍부한 사고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goal(목표) 정하기
<표> 定義(정이) 중심적 사고의 구조
주체화하기
(3) 이해와 표현의 상관관계
-서로 다른 와 서로 다른 매체는 서로 다른 사고를 요구함.
③ 인지적 조작력 : 사고력의 가장 직접적인 구성 요소.
3. 인지 중심적 사고의 작용 양상
④ 다양한 와 매체의 활용
텍스트가 갖는 의미를 깊고 넓게 함
과정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함.
목적
-범주들 상호간의 관계로 따져 볼 때 사고의 여러 측면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① 공통점
-작용 수준별(합리적-비합리적 사고, 창의적-비창의적 사고 등)
울림 -> 쾌락
[국어교육학] 국어교육학_소명(요약)
상위인지(metacognition) : 인지에 대한 인지. (메타인지. 초인지. 대인지. 후단인지)
- 감동의 구체적 양상
객관화하기
느끼기 -> 즐기기
제 10장 定義(정이) 중심적 사고의 본질과 작용
④ 생산적 이해 단계
- 定義(정이)적 텍스트에 담겨있는 감정에 대해 영혼의 울림을 얻게 되는 첫 번째 활동 => 느끼기
③ 독해 위주의 수업
표현의 과정이나 결과의 적절성을 객관적으로 검토
설명
② 감정 - 인간의 마음 속에 일어나는 定義(정이)
이해와 표현은 그 자체가 사고활동이므로 이해-표현 교육을 하는 것만으로 사고 교육이 이루어진다.
2. 인지 중심적 사고의 통합성과 교육 방향
① 따지기 - 알기를 통해서 깨달음의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사상이 옳고 그른가, 혹은 그것이 하나의 생각과 일치하는가 일치하지 않는가 따져 보아야 함
1) 문학과 같은 定義(정이)적 텍스트를 읽는 이유 는 감동을 얻기 위해서이다.
-표현: 아이디어(의미)---> 텍스트
수렴 -> 발산
-기능적-방법적 성향(민감성, 정교성, 의구성 등)
- ‘의미구성’이라는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는 사고 과정이다.
-창의적 성향(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등)
기존 국어교육의 네 가지 characteristic(특성)
표현의 과정에서 새로운 깨달음을 얻거나 의미구성의 정직성 확보
사고가 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면 사고 교육 역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교육의 실제성을 높여야 함. 단위 요소별 사고 교육이 아닌 작용 양상별 사고 교육이 되어야 함.
교육 방향
국어교육학
-상위인지도 작용 양상별 사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국어교육은 제대로 된 이해-표현교육을 하지 못했으므로 사고교육에 성공적이지 못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