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사전문의제도의 실시와 기존수련경력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5:08
본문
Download : 한의사전문의제도의 실시와 기존.hwp
(2)신뢰보호의 원칙의 위반 여부
(다)소결





(나)의사 내지 치과의사와 한의사간의 discrimination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Ⅲ.평석 이 사안은 일정한 자격제도를 국가가 새로이 신설하면서 그 직업의 선택을 위한 주관적 전제조건을 둔 경우에, 이전부터 그와 같은 직종에 종사하면서 사실상 그러한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자들에 대하여 적절한 경과규정을 마련할 必要性이 헌법상 과잉금지원칙이나 신뢰보호원칙으로부터 도출된다고 하는 점을 보여 줄 수 있는 중요한 판례(leading case)가 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경과규정을 결여한 이 사건규정에 대하여 입법 자에게 넓은 입법대량이 인정된다는 이유로 그 위헌성을 눈감아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청구인의 기본권침해의 중대성을 지나치게 가볍게 판단한 흠이 있었던, 아주 아쉬운 판례라고 생각된다. 이 사건 규정 부칙 제3조의 위헌 여부
Ⅱ.헌법재판소결定義(정의) 내용
가.전문의제도의 의의와 입법재량
(가)한의사들 간의 discrimination
순서
설명
다. Ⅰ.문제제기
한의사 의료법 헌법재판소 행복추구권
한의사전문의제도의 실시와 기존수련경력자
나. 이 사건 규정 부칙 제2조의 위헌 여부
한의사 의료법 헌법재판소 행복추구권 / (한의사)
1.사건의 개요의 심판의 대상
②전공의수련규정시행 이후에 수련과정을 거친 경우
라.결론
_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이 사건의 개요와 헌법재판소 결定義(정의)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고, 이 사건 규정 부칙 제2조와 제3조의 위헌성이 어디에 있으며, 또한 헌법재판소 논거들의 problem(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짚어 보도록 한다.
가.사건의 개요
(3)평등권의 침해 여부
한의사 의료법 헌법재판소 행복추구권 / (한의사)
(1)획일의 자유의 침해 여부
(4)병역의무이행으로 인한 불이익처우금지원칙의 위반 여부
(5)행복추구권의 침해 여부
나.심판의 대상
①전공의수련규정시행 이전에 수련과정을 거친 경우
Download : 한의사전문의제도의 실시와 기존.hwp( 11 )
2.헌법재판소결定義(정의) 요지
다.